리액트 훅(React Hooks)
리액트 훅(Hooks)은 React 16.8 버전 이후 추가된 기능으로,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와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하는 일련의 함수
- 이전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기능들을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 개발자들의 개발 효율을 높임
- useState, useEffect, useContext 등의 기능이 있으며, 각각의 기능들은 컴포넌트에서 state, lifecycle, context를 다룰 때 사용
- 리액트 프레임워크에서는 컴포넌트를 리액트 훅을 사용하는 함수 컴포넌트 형태로 구현할 것을 권장
리액트 훅의 기본 원리
유효범위란?
-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는 유효한 범위를 가지며, 이를 벋어나면 자동으로 소멸됨
- 블록 범위(Block Scope) : 중괄호
{...}
안쪽의 범위
- 지역 변수(Local Variable) : 블록 범위 안의 변수
- 전역 변수(Global Variable) : 블록 범위 바깥의 변수
- 리액트 훅에서는 캐시(cache)를 전역 변수 형태로 만들어 함수 컴포넌트에서도 상태를 가진 것 처럼 동작할 수 있게 함
상태와 캐시
리액트 훅 함수의 특징
- 같은 리액트 훅을 여러 번 호출 가능
- 함수의 몸통이 아닌 몸통 안 복합 실행문의
{ }
안에서 호출 불가